'man'이라는 명령을 이용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man errno

'ERRNO(3)' 이라고 표시 되는데 괄호 안에 있는 번호는 맨 페이지의 섹션 번호를 나타낸다.

즉, ERRNO에 대한 설명은 맨페이지의 세 번째 색션에 있다는 것이다.

섹션이란 유닉스 상에서 필요한 도움말들을 종류별로 구분해 놓은 것이다.

1번 섹션은 쉘에서 실행하는 일반 프로그램들에 대한 도움말을 다룬다.

2번 섹션은 시스템 콜에 대한 것이다.

3번 섹션은 라이브러리 함수에 대한 것이다.

이밖에도 총 아홉 개의 섹션이 존재한다.

시스템 콜 'write'를 찾고 싶은 경우는 반드시 다음과 같이 섹션을 명시해 주어야 한다..

$> man 2 wirte


Tag |
gcc
-o 실행파일의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 ex) gcc -o first first.c
-c 소스 코드를 컴파일만 하고 링크하지 않기. ex) gcc -c first.c
컴파일과 링크 : 오브젝트 코드는 단지 소스 코드의 내용을 컴파일 한것이다. 링크 과정은 여러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연결하여 완성된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준다. 소스 코드에서 사용된 printf()나 scanf()와 같은 라이브러리 함수들도 링크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과 연결된다.
-c 옵션을 쓰는 이유 : 프로그램이 조금만 커져도 나누어 관리하는 것이 훨씬 편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하나의 소스 파일만 바뀌었을 때 모든 소스 파일들을 다시 컴파일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오브젝트 코드를 가지고 링크를 한다.
-I

특정 디렉토리에 있는 헤더를 추가로 검색하는 옵션
ex) gcc -I/user/src/include

-L 라이브러리를 찾을 때 검색할 디렉토리를 추가해주는 옵션
Tag |